•
초기 낭만주의 운동은 철학과 아무 관련도 없었으나, 오래지 않아 철학과 연결되었다. 낭만주의 운동은 또한 루소에 의해 처음부터 정치학과 이어져 있었다.
•
낭만주의 운동을 최초로 이끈 인물은 루소이지만, 그는 이미 존재하던 낭만주의 경향들을 일정한 한계 내에서 표현했을 뿐이다.
•
낭만주의 운동 전체의 특징은 한마디로 공리적 기준을 미적 기준으로 대체한 것이다.
◦
낭만주의자들의 도덕은 일차적으로 미적인 동기를 포함한다.
•
낭만주의자들의 독특한 기질은 허구의 세계를 그린 소설 속에 가장 잘 드러나있다. 그들은 기이한 것, 예컨대 유령이나 퇴락한 고성, 한때 번성했던 가문의 우울한 후손, 숙련된 최면술사, 신비학, 몰락한 폭군, 레반트의 해적들을 좋아했다.
◦
낭만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등장한 사실주의자들도 모두 마찬가지였다.
•
(낭만주의 역사 내용 생략)
•
사회의 구속에 반하는 고립 추구 본능에서 비롯된 반항은 보통 낭만주의 운동이라 불릴 뿐만 아니라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온 낭만주의의 결과를 특정짓는 철학, 정치학, 정서를 이해하는 열쇠이다.
◦
독일 관념론의 영향으로 철학은 유아론적 체계가 되었으며, 자기 전개가 윤리의 근본 원리로 선언되었다.
•
낭만주의는 한편으로 귀족주의을 옹호하고 또 한편으로 이해타산보다 정열을 선호했기 때문에, 상업주의와 재정 문제를 몹시 경멸하고 멸시했다.
◦
따라서 낭만주의는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선언했으나 프롤레타리아의 이익을 대변한 사회주의자들의 입장과는 매우 달랐다.
•
낭만주의 운동의 본질은 인간의 개성을 사회적 규약과 도덕성의 족쇄에서 자유롭게 하려는 목표에 있다.
◦
부분적으로 이러한 족쇄는 바람직한 욕구의 대상이 될만한 활동을 훼방하는 한낱 쓸모없는 방해물이었다.
•
경제, 정치, 지성에서 비롯된 원인들이 제도권 교회에 맞서는 반항을 자극하면서 낭만주의 운동은 도덕 영역에 대한 반항으로 변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