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는 관이다
◦
신경관이 변형되면서 뇌 역시 세분화 된다.
•
신경관 분화
◦
전뇌는 전뇌 간뇌로 분화
◦
중뇌는 중뇌 후뇌로 분화
▪
후뇌는 교뇌 소뇌로 분화
◦
능뇌는 수뇌로 되었다가 연수로 된다
•
신경관(수관, neural tube)
◦
척삭동물과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 나타나는 외배엽에 유래하는 관상구조. 뇌나 척수가 될 부분이다.
•
전뇌(forebrain)
◦
척추동물의 세 개의 뇌포 가운데 가장 앞쪽 것을 말한다. 대뇌와 간뇌로 이루어져 있다.
•
중뇌(midbrain)
◦
안구, 운동 등 중요 신경이 지나가는 뇌의 가운데 부위. 사이뇌와 다리뇌를 연결한다.
•
능뇌(rhombencephalon)
◦
척추동물의 뇌의 발생 가운데 신경관 윗 부분에 생기는 세 개의 부푼 부분의 맨 뒷부분. 후뇌와 수뇌로 분화한다.
•
척수의 하행로는 운동, 상행로는 감각을 전달한다
•
유사한 기능을 하는 기관은 모여있다.
•
피질 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피질에서 시작되어 척수의 복측 회백질에서 끝나는 축색 경로
•
외측피질 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
◦
행동의 시작과 통제에 관여하며 사지의 움직임과 신체 말단의 통제에 중요하다
•
전피질 척수로(anterior pyramidal tract)
◦
사람을 제외한 다른 동물에서는 보기 힘들다. 수의 운동에 관여한다.
•
적핵 척수로(rubrospinal tract)
◦
팔과 다리의 근육 운동 통제에 관여한다
•
전정 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
뇌간에서 시작되는 신경로의 하나. 자세 조절에 중요하다
•
시개 척수로(tectospinal tract)
◦
시개에서 척수로 연결되는 축색다발. 머리, 몸통 운동, 눈 운동의 협응에 관여한다.
•
연수 그물 척수로(medullary reticulospinal tract)
◦
근긴장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교뇌 그물 척수로(pontine reticulospinal tract)
◦
기립자세를 유지하고 사지와 몸통 동작을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
내측 세로 다발(M.L.F,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
상행성분과 하행성분이 함께 있는 복합섬유 다발. 전정신경로와 함께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에 관여한다.
•
척수 소뇌로(spinocerebellar tract)
◦
척수에서 시작되어 소뇌의 피질로 이어지는 신경로. 고유감각을 전달한다
•
전척수 소뇌로(anterior spinocerebellar tract)
◦
유해지각 및 외상지각 정보를 전달하는 뇌의 감각 경로
•
후척수 소뇌로(posterior spinocerebellar tract)
◦
촉각과 자기고유 감각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뇌의 감각 경로
•
척수 올리브로(spino olivary tract)
◦
척수에서 부올리브핵으로 연결되는 신경로. 부올리브핵에서는 올리브소뇌로를 통해 반대쪽의 소뇌피질로 이어져 척수소뇌로의 보완작용을 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
척수 시상로(spinothalamic tract)
◦
척수에서 사이뇌의 시상까지 아픈 감각과 온도 감각을 전달한다
•
전척수시상로(anterior spinothalamic tract)
◦
척수에서 시상으로 촉각을 전달한다.
•
외측척수시상로(lateral spinothalamic tract)
◦
전척수소뇌로의 심층에 있으며 통증과 온도감각을 담당한다
•
척수덮개로(spinotectal tract)
◦
기능은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척수에서는 척수시상로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
척수의 상행로와 하행로는 양쪽에 대칭으로 존재한다
•
팔과 다리에서 오는 감각은 대뇌피질의 S1(체감각)으로 향한다
•
후섬유단(posterior column)
◦
시상을 거쳐 대뇌피질에 도달한다. 분별성 촉각과 진동감각, 위치 감각을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