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간(brainstem)
◦
중뇌(상구+하구) + 교뇌 + 연수로 이루어진 것.
▪
중뇌는 중간뇌, 교뇌는 다리뇌
◦
연수(숨뇌, medulla oblongata)는 호흡
▪
척수와 곧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나 혈액순환을 조절한다.
◦
교뇌(pons)는 균형
▪
척추동물의 중뇌와 연수 사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
◦
하구(inferior colliculus)는 청각
▪
중뇌의 덮개를 구성하는 한 부위. 청각 정보를 받아서 청각 피질로 전달
◦
상구(superior colliculus)는 시각
▪
중뇌의 상부에 있는 돌출부로 시각계의 일부. 눈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
◦
뇌간이 브레인의 본질이다.
•
진화적으로 볼 때 대뇌는 겉보기 현상에 불과 가장 중요한 것은 뇌간
◦
대뇌피질은 시각, 청각의 정보를 2차적으로 더 깊이 처리하는 것.
◦
물고기나 악어 때보다 인간으로 진화하면서 청각, 시각의 정보 처리량이 많아졌고, 예술 활동까지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음.
•
소뇌는 균형감각을 처리한다. (균형감각은 전적으로 소뇌가 전담)
◦
뇌섬엽에서 미각을 처리한다.
•
중심관(central canal)
◦
척수의 중심부에 있는 가느다란 관
•
중뇌수도관(cerebral aqueduct)
◦
제3뇌실과 제4뇌실을 잇는 뇌실의 일부분
•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
뇌와 척수 주위를 순환하며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고 호르몬과 노폐물 등의 물질 운반 역할을 하는 무색투명한 액체
•
정중구멍(마겐디공, median aperture)
◦
뇌척수액이 뇌 주위를 순환하게 하는 통로
•
흑질(substantia nigra)
◦
중뇌에 있는 검은 갈색의 큰 회색질. 신경 세포가 많이 모여 있어서 골격근의 무의식적인 운동을 담당
•
적핵(red nucleus)
◦
중뇌의 정중선 양쪽에 있는 좌우 한 쌍의 불그스름한 큰 회백질 덩이. 운동 계통의 중심적인 구실을 한다.
•
동안신경(oculomotor nerve)
◦
안구의 운동이나 동공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뇌신경으로 3번 뇌신경
•
활차신경(trochlear nerve)
◦
안구를 안쪽으로 회전시키고, 아래쪽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르래신경이라고도 함. 4번 뇌신경.
•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
얼굴의 감각 및 일부 근육 운동을 담당하는 5번 뇌신경
•
외전신경(abducens nerve)
◦
안구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는 6번 뇌신경
•
안면신경(facial nerve)
◦
얼굴의 표정근육을 지배하는 7번 뇌신경
•
전정(vestibule)
◦
균형감각 담당
•
와우(cochlea)
◦
소리 담당
•
설인신경(glossopharyngeal nerve)
◦
미각이나 촉각의 말단, 혀뿌리의 분비신경 등을 지배. 9번 뇌신경
•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
◦
모든 혀 근육에 분포. 혀의 운동을 담당. 12번 뇌신경.
•
미주신경(vagus nerve)
◦
심장, 인두, 성대, 내장기관 등에 폭넓게 분포하여 부교감신경 및 감각, 운동신경 역할을 수행한다.
•
부신경(accessory nerve)
◦
머리를 움직이는 근육의 일부에 분포하고 있는 운동성 신경. 11번 뇌신경.
•
연수에 있다는 것은 생명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
◦
호흡, 심장 박동, 내장 조율 등
•
고립로핵의 신경섬유 다발을 고립로라 한다.
•
고립로핵은 내장감각, 혈압, 호흡, 미각을 관장한다.
◦
하지만 고립로핵의 핵심은 미각이다.
•
동물이 살아온 환경에 따라 뇌의 구조는 매우 달라질 수 있다.
◦
미각이 다 덮을 수도 있고, 돌고래라면 청각이 더 커질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