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의 세가지 형태
◦
자율 (autonomy)
▪
의지와는 관계 없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반응. 심근
◦
반사 (reflex)
▪
자극에 대해 기계적으로 일어나는 신체의 국소적인 반응. 골격근
◦
수의
▪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 골격근
•
모든 움직임에는 신경이 있어야 한다.
◦
그런데 심장은 신경을 잘라내도 잠시 뛸 수 있음
•
심장은 근육세포가 변형되서 만들어진 것. 고유 심근과 특수 심근으로 구성된다.
◦
고유 심근(Myocardium proper)은 심장을 펌프질하는 수축 역할을 하며 심장 박동에 관여한다.
◦
특수 심근(impulse conducting system)은 전체 심근의 5%를 차지하며 전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우심방(right atrium)
▪
대정맥에서 모인 인체 내의 모든 피가 들어가는 곳. 우심방의 피는 우심실을 지나 허파로 보내진다.
◦
우심실(right ventricle of heart)
▪
심장 오른쪽 아래의 동맥과 직결되어 있는 부분. 우심방에서 오는 정맥혈을 폐동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
좌심방(left atrium)
▪
허파로부터 피를 받아 좌심실로 보내는 심방. 우심실로부터 나온 정맥 혈액이 들어오게 된다.
◦
좌심실(left ventricle)
▪
좌심방으로부터 피를 받는 심실. 수축하는 힘으로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에 피를 공급한다
•
갭 정션(gap junction)
◦
2개 세포의 세포막이 특수한 형태적 집합을 하고 있는 부분. 전기 저항이 적고 어느 정도 물질의 유통도 있을 수 있다.
•
동방결절(sinoatrial node)
◦
주기적인 전기 자극을 생성하여 심장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심장박동을 조절
•
심장의 자율 운동
◦
동방결절에서 일어난 전기신호가 갭정션을 통해 심장 근육 전체로 동시에 전달
◦
심장의 각 근육세포들이 신경의 전달속도와 관계없이 함께 뛴다.
◦
이와 같은 심장의 고유한 특성은 심장이 몸 밖에서도 얼마간 자율 운동 할 수 있게 한다.
•
심전도
◦
P 파형(P wave)
▪
심방에 전기가 흐르면서 나타나는 파형. P 파형이 나타난 이후 심방이 수축한다.
◦
QRS 파형(QRS complex)
▪
심실의 전기적 활성(기계적 수축)을 표시
◦
T 파형(T wave)
▪
심실이 수축한 이후에 이완하는 과정과 관계가 있다.
•
올리브핵(olivary nucleus)
◦
사람 뇌에 있는 올리브 열매 모양의 회백질
◦
신경 섬유에 의해 소뇌, 척수와 연결되어 골격근의 무의식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는 신경계
•
적핵(red nucleus)
◦
중간뇌의 불그스름한 큰 회백질 덩이. 운동 계통에서 중심적인 구실을 한다
•
꼬리핵(caudate nucleus)
◦
대뇌 반구의 아래쪽에 위치. 골격근의 무의식적인 운동이 잘 통제되어 일어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중요한 감각과 운동은 뇌에서, 간단한 감각과 운동은 척수에서 처리한다.
◦
척수에서 하는 간단한 처리가 반사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