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뇌는 보이지 않게 다른 뇌와 함께 움직인다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협력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은 환경에 적응하는데 주요 이점이 되어왔다.
•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의 신체예산에 영향을 끼치고 성인이 된 뇌를 재배선한다는 것일까? 우리 뇌는 새로운 경험을 한 뒤 배선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우리가 뇌의 가소성이라고 부르는 그 프로세스 말이다.
•
어떤 사람의 뇌는 주변 사람들에게 더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어떤 사람들은 그러지 않지만, 모든 사람에게는 누군가가 있다. —심지어 사이코패스도 다른 사람에게 의존한다. 참으로 불행한 방식을 사용하긴 하지만— 궁극적으로 가족, 친구, 이웃 심지어 낯선 사람들까지도 우리 뇌 구조와 기능에 기여하며 우리 뇌가 몸을 잘 운영하게끔 돕는다.
•
이러한 상호조절에는 주목할 만한 효과가 있다. 두 사람이 연인이든 친구든 처음 만난 낯선 사람이든, 한 사람의 몸에 일어난 변화는 종종 다른 사람의 몸에도 즉각적 변화를 일으킨다.
•
또한 나의 행동이 상대의 신체예산을 조정하기도 한다. 우리가 목소리를 크게 내거나 눈썹을 치켜올리면 다른 사람의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 예컨대 심장박동수나 혈류 내에 흐르는 화학물질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면 우리는 단지 손을 잡아주는 것만으로도 고통을 줄여줄 수 있다.
•
우리가 사회적 종이라는 사실은 우리 호모 사피엔스 모두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해준다. 한 가지 이점은 다른 사람들과 긴밀하고 힘이 되어 주는 관계를 유지하면 더 오래 산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관계가 우리에게 좋다는 것은 명백해 보인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 혜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
•
사회적 종이라는 사실이 대개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나쁜점도 있다. 친밀한 사람과 함께할 때 우리는 더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지만, 외로움을 지속적으로 느끼면 병에 걸리고 일찍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 신체예산을 조절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우리는 추가 부담을 져야 한다.
•
신체예산을 공유한다는 사실은 공감에도 영향을 끼친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공감할 때 우리 뇌는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며 어떤 행동을 할지 예측한다. 상대방과 사이가 가까울수록 우리 뇌는 상대방의 마음고생에 대해 더 효율적으로 예측한다.
•
인간 외에도 많은 생물이 서로의 신체예산을 조절한다. 개미와 벌을 비롯해 여러 곤충은 페로몬과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해 이런 일을 한다. 하지만 인간은 동물계에서도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는데, 우리는 ‘말’로 서로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
당신이 맞닥뜨리는 말들이 왜 그렇게 당신 내부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일까? 그것은 뇌에서 언어를 처리하는 많은 영역이 몸 내부도 제어하기 때문이다.
•
진화는 인간에게 일시적인 대사 변화에 대처하면서 오히려 그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신경게를 선물했다. 어쩌다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운동과 같을 수 있다. 신체예산에서 잠시 인출한 다음 곧바로 채워넣으면 당신은 더 강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된다.
•
신경계에 가장 좋은 것은 다른 사람이다. 신경계에 가장 나쁜 것도 다른 사람이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를 인간 조건의 근본적인 딜레마로 인도한다. 우리의 뇌가 생명과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