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황 체제는 그레고리우스 대교황부터 실베스테르 2세에 이르는 4세기 동안 영고성쇠를 거듭함.
◦
8, 9세기에 의욕이 넘치는 교황들은 절호의 기회를 잡아 교황 권력의 전통을 형성해 나감.
•
교황들은 자신의 노력이 아니라 롬바르드족 군대의 힘으로 그리스 황제들로부터 독립을 쟁취함.
◦
그리스의 교회는 대체로 황제에게 복종하고, 황제는 주교나 총대주교를 임명하고 폐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 함.
◦
수도자들은 황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려 했고 이 때문에 교황의 편을 들었음.
◦
반면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들은 황제에는 복종하였지만, 교황의 권위에는 복종할 생각이 없었음.
•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 분리된 주된 원인은 동방 교회가 교황의 지배권에 저항한 사건.
•
7세기에도 황제의 군사력이 로마를 지배했기 때문에 교황들은 복종하거나 수난의 길을 걸어야 했음.
•
751년 롬바르드족이 비잔틴 제국의 이탈리아 수도 라벤나를 점령함으로써 교황은 그리스 황제들에게 의존하던 종속 관계에서 벗어남.
◦
롬바르드족이 739년 로마 정복을 꾀하자 교황은 프랑크 왕국에 원조를 요청하고 위기를 벗어남.
•
처음부터 주교들은 모두 동등하다고 생각했으며 동방에서도 이러한 견해는 받아들여져서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 등 동방에는 다른 총대주교들이 있었던 반면, 교황은 서방의 유일한 총대주교였음.
◦
동방과 달리 서방의 속인들은 대부분 수세기 동안 읽고 쓸 줄 몰랐기 떄문에 서방 교회는 여러 이점을 누림.
◦
황제의 특권은 교황의 특권에 대적할 정도였지만, 서방의 군주 가운데 어느 누구도 교황에 견줄만한 특권을 누리지 못함.
•
샤를마뉴는 롬바르드족을 완전히 물리치고 왕으로 인정 받은 다음 로마에서 교황이 거행한 대관식을 통해 황제로 즉위함.
◦
이는 황제와 교황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음.
◦
사를마뉴는 자기 주장의 합법성을 교황으로부터 이끌어냄. 이로써 교황과 황제 사이에 이상한 의존 관계가 형성되었는데, 어느 누구도 로마 교황의 대관식을 거치지 않고서는 황제가 될 수 없었던 반면, 황제는 교황을 임명하고 폐할 권리를 주장함.
•
샤를마뉴 죽음 이후 카롤링거 왕조가 쇠퇴하고 제국이 분열되기 시작한 초기 상황은 교황 체제에 유리하게 작용함.
◦
교황 니콜라우스 1세는 이전 어느 때보다 교황 권력을 강화함.
◦
그는 동방과 서방의 황제들, 거의 모든 그리스도교 나라의 주교단과 다퉜는데 거의 모든 싸움에서 승리함.
•
10세기 내내 로마의 지방 귀족들이 교황직을 장악하였는데, 그 무렵까지 교황의 선출 방식을 정하는 규칙은 존재하지 않았음.
•
서기 1000년은 이슬람교도와 북방 야만족이 서유럽 침략을 중단했다는 이유로 전환점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