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
뉴런은 뇌의 껍질에 있는거고 그 안쪽에는 신경섬유들이 가득차 있다.
•
데이터를 보내는 축삭돌기는 1개고, 데이터를 받는 수상돌기는 대단히 많다.
◦
축삭돌기는 표면이 매끈하고 수상돌기는 표면이 거칠다.
◦
근데 축삭돌기 말단에 여러개로 갈라져서 여러 뉴런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듯
•
하나의 수상돌기에는 수많은 시냅스 가지가 있음
•
데이터는 시냅스에 저장 됨
•
시냅스 연결은 강하게 연결된 시냅스가 있고, 약하게 연결된 시냅스가 있음.
◦
2개의 시냅스가 동시에 작용하면 약한 시냅스가 강한 시냅스로 변화 됨.
◦
이거를 이용해서 고전적 조건화가 가능.
◦
음식이라는 자극은 강하고, 종소리의 자극은 약한데, 그 둘을 같이 자극해서 종소리 자극도 강하게 받아들이게 하면 이후에 종소리만 들려줘도 침이 분비가 됨.
•
해마는 3중 시냅스 구조를 갖고 있음
◦
해마는 기억에 대해 중요한 부위
•
지역적으로 뉴런들의 네트워크 연합을 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시각 처리, 감각 처리, 언어 처리 등) 그 시스템끼리 다시 네트워크로 연결된다고 구분한다.
•
뇌는 크게 인지 시스템, 감정 시스템, 동기 시스템으로 구분함.
◦
이 3가지가 연결되어서 자아를 구성한다고 본다.
◦
감정과 동기 시스템은 암묵적, 본능적인 것으로 본다.
2강
•
기억은 서술적 기억과 비서술적 기억(무의식적 기억)으로 나눈다.
◦
서술적 기억
▪
사실 (의미)
▪
사건 (일화)
◦
비서술적 기억
▪
기술 (운동, 지각, 인지)
▪
예비화 (지각, 의미)
▪
성향 (편향과 암묵적 목표)
▪
비연합성 (습관화, 민감화)
•
기억 장애
◦
순행성 기억 장애 – 사고 전 기억은 유지하나 새로운 기억은 못 함
◦
역행성 기억 장애 – 사고 전 기억을 소실 함
•
전두엽과 두정엽 사이를 경계하는 중앙열이 있는데, 그 중앙열을 사이에 두고 앞 부분은 운동 영역, 뒷부분은 체감각 영역이 있음. 그 둘은 바로 붙어 있다
◦
체감각 영역은 입술과 손이 큰 부분을 차지
•
측두엽에 전기자극을 주었더니 특정한 기억에 대한 생생하고 의식적인 회상이 일어났음
◦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기억이 저장되는게 아닐까?
•
해마는 측두엽에 있음
•
제니퍼 애니스톤에만 반응하는 뉴런이 발견됨.
◦
해당 뉴런은 안젤리나 졸리나 건물에는 반응이 안 됨.
◦
(특정한 사람에 반응한게 아니라 그 사람의 매력에 감흥이 온게 아닐까? 자기 스타일이라는 거)
•
해마(체계)를 통해 시냅스 가소성이 발생하는데, 해마에 의한 것은 오래 유지가 안 됨
•
해마 체계의 정보들이 신피질에 저장되면 기억이 오래 감
•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시냅스 강화 현상으로 해마에 잠시 저장이 됨. 이 정보가 신피질로 이동해서 장기기억으로 저장 됨.
◦
이것을 경화라고 한다.
▪
해마와 신피질은 자체적으로 활성/불활성 상태를 갖는데 해마와 신피질 사이의 큰 수준에서 경화 작용이 일어남
◦
이 과정에서 수면이 중요한 역할을 함.
◦
일시적 연결이 장기적인 기억의 자취로 저장되는데 수면이 중요함
•
해마는 좌우 측두엽에 1개씩 2개가 있다.
•
작화증
◦
기억을 잘못 저장하고 있는 것.
◦
지능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잘못된 기억을 하고 있는 노인의 사례
◦
결혼한지 4개월 됐는데, 성인이 된 자녀가 있음. (실제로는 30년 결혼 함)
◦
스스로 합리화 하기 위해 입양했다고 생각함
3강
•
시각 정보를 다루는 신경세포는 눈에 원형으로 배치됨. 중심가 가운데 원형으로 있고, 그 바깥 원으로 주변부를 처리함
•
정보는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더 민감해서, 흰색에서 검은색까지 그라데이션이 있을 경우 흰선과 검은선이 마주되는 부분에서 특히 희게 느껴짐
•
시각 정보는 신경절 세포에서 외슬핵을 거친 후 후두엽의 제 1시각 중추로 감. 제 1시각 중추를 거친 후에 제 2, 3 시각 중추로 넘어감
•
연합적 실인증 – 복측두엽에 손상
◦
지각은 하지만 재인은 못 함. 장미 이미지를 볼 수는 있지만 그게 장미인지 못 알아 봄
•
안면 실인증 – 외측후두피질, 하측두피질, 방추회 손상
◦
물체는 알아보지만 사람의 얼굴은 알아보지 못함. 가족, 친구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못 알아 봄
◦
뒤집힌 얼굴 처리는 안면 인식이 아니라 물체를 재인하는 체계를 이용해서 처리 함
•
편도 안에서 공포를 관장함
•
중뇌-변연 도파민 경로에서 도파민이 분비 됨
◦
도파민은 보상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함
4강
•
85세 이상에서 40%가 치매에 걸림
•
조울증에 걸렸을 때 예술적 성취가 높은 예술가들이 있음
5강
•
유전자 조작을 통해 시냅스 수용체를 기능이 좋은 것으로 바꿀 수 있음. 이러면 똑똑한 쥐가 만들어짐
•
원숭이 뇌에 전기 신호를 꽂고 그 신호를 해석하는 컴퓨터를 기계와 연결해서 원숭이 몸을 묶어 두고 뇌를 이용해서 로봇을 움직여서 먹을 것을 먹는 실험에 성공
•
사람한테도 성공함. 몸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뇌에 전극을 꽂고 인공 팔을 움직임
6강
(강의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