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 동사 목록
All forms the same
Two different forms
First and third forms the same
Second and third forms the same
Three different forms
인칭과 문장 형태에 따른 동사의 변형
주어의 인칭에 따른 동사의 변형
be동사
•
I 는 ‘am/ was’
•
복수형일 때 ‘are/ were’
•
단수형일 때 ‘is/ was’
일반동사
•
I 또는 복수형일 때 ‘동사원형’
•
단수형일 때 ‘동사원형+(e)s’
•
과거는 모두 ‘ed’
문장 형태에 따른 동사의 변형
be동사
•
조동사도 be동사처럼 사용되어 문장을 구성한다.
일반동사
•
긍정문에서 일반동사는 시제와 인칭 변화를 따른다.
•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do는 시제와 인칭 변화를 따른다. do/ does/ did 형태로 변환됨.
◦
do가 시제와 인칭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뒤에 나오는 일반동사는 동사원형이 사용된다.
시제에 따른 동사의 변형
•
일단 모든 시제를 고려하긴 하였으나 문장 형태별 정리된 시제가 모두 동등한 사용률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
목록이 길긴 하지만 규칙은 명확해서 금방 익힐 수 있다.
일반형
현재
•
do not = don’t
과거
•
did not = didn’t
미래
•
will not = won’t
진행형
현재 진행
•
be현재 = am/are/is
과거 진행
•
be과거 = was/were
미래 진행
•
will not = won’t
•
조동사 뒤에는 원형이 와야 하므로 will 다음에는 be가 된다.
완료형
현재 완료
•
have not = haven’t/ has not = hasn’t
과거 완료
•
had not = hadn’t
미래 완료
•
will not = won’t
완료진행형
현재 완료 진행
•
have not = haven’t/ has not = hasn’t
과거 완료 진행
•
had not = hadn’t
미래 완료 진행
•
will not = won’t
•
조동사 뒤에는 원형이 와야 하므로 will 다음에는 have가 된다. –3인칭이라고 has가 되지 않음.
대명사의 격 변화
인칭대명사 격 변화
관계사 격 변화
명사를 구체화하는 표현
동사를 중요시하는 우리말 –동아시아는 다 비슷하다– 에서는 명사는 지칭만 하고 넘어가면 청자가 알아서 이해하는 반면, 명사 위주의 언어인 영어는 명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중요하다. 그래서 그냥 책, 가방이 아닌 a book, my bag과 같은 식으로 명사를 구체화하는 표현을 같이 사용해줘야 한다.
한정사
한정사의 종류
영어의 명사는 설명이 불필요한 고유 명사를 제외하고는 그 명사 자체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이때 한정사를 이용해서 명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정사라는 품사가 따로 있다기 보다는 아래의 품사들이 한정사 역할을 하게 된다.
•
관사 ex) a, the
•
소유 ex) my, your..
•
지시 ex) this, that…
•
수량 ex) a little, many, much, some, all…
•
수 ex) one, two, million…
한정사의 순서
기본적으로 한정사는 2개를 사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a my friend와 같은 표현은 비문이다. –이 때문에 a friend of mine과 같은 식으로 돌려서 사용한다.
그러나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와 같은 애들은 다른 한정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전치 한정사 –all, both, half, no, double, either, neither…–는 한정사의 앞에 오며, 후치 한정사는 –one, two… first, second, few, little– 한정사의 뒤에 온다.
한정사와 형용사가 함께 사용될 경우 한정사는 형용사 앞에 와야 한다.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
구체화된 물질은 셀 수 있지만, 추상적인 개념이나 분명한 단위를 구분하기 어려운 –모래, 물– 물질은 셀 수 없다는 것이 기본.
셀 수 있는 명사는 a나 -(e)s 를 이용하여 단수/ 복수 형태로 사용하고 셀 수 없는 명사는 셀 수 있는 단위를 이용하여 –a cup of coffee– 사용한다.
셀 수 있는 명사건 셀 수 없는 명사건 수량을 나타내는 한정사가 아닌 한정사는 사용할 수 있다. –the news, this furniture
다만 우리의 개념과는 셀 수 없는 명사의 개념이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비교급과 최상급
규칙 비교급과 최상급
1음절 형용사와 부사의 원형에 -er, -est를 붙여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든다.
•
cheap – cheaper – cheapest
•
fast – faster – fastest
2음절 이상의 형용사나 부사는 more, most를 붙여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든다.
•
serious – more serious – most serious
•
expensive – more expensive – most expen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