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가미 호흡
◦
아가미는 여러 개의 디스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디스크들 사이로 물이 통과하게 된다.
◦
디스크의 모세혈관을 통해 물속의 산소를 직접 공급 받는다.
•
호흡 중추기관은 교뇌(연수)
•
호와 흡은 다르다
◦
호는 내쉬는 숨으로 날숨(expiration)
◦
흡은 들이마시는 숨으로 들숨(inspiration)
•
들숨과 날숨은 신경로가 다르다.
◦
등쪽호흡핵은 연수의 등쪽에 있으며, 들숨을 컨트롤한다.
◦
배쪽호흡핵은 연수의 배쪽에 있으며, 날숨을 활성화한다.
•
심장은 무의식적인데, 호흡은 의식적인 부분이 있다.
◦
말하는 게 호흡
•
성인 남자의 경우 최대한 들이시면 5800cc 용량이 된다.
◦
최대한 내셔도 폐에는 공기가 남아 있는데 그게 1200cc가 된다.
◦
폐활량이란 최대한 들이쉰 상태에서 최대한 내쉰 상태가 되는데 그때의 공기량은 4600cc
◦
아무리 내쉬어도 1200cc는 남는데, 평상시엔 1100cc의 호기 예비량을 갖고 있다.
•
성인 남자가 1분간 호흡할 때 얻는 산소량은 250cc
◦
1분간 필요로하는 산소량은 250ml/min
•
날숨도 대부분은 산소로 구성됨
◦
들숨시 산소는 21%, 이산화탄소는 0.04% (대기중 산소, 이산화탄소 비율)
◦
날숨시 산소는 16%, 이산화탄소는 4%
•
우리 몸의 혈액에 100ml당 5ml가 존재.
•
허파꽈리(alveolus)
◦
허파 속 기관지 맨 끝에 포도송이처럼 붙어 있는 공기주머니로 공기와 혈액 사이에서 기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함.
•
적혈구(red blood cell)
◦
붉은색 납작한 원반 모양의 혈액세포로 혈관을 통해 전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
•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 사이를 연결하며 주변 조직과 산소, 영양분 및 물질 교환을 담당하는 혈관
•
간질액(interstitial fluid)
◦
조직이나 세포 간격을 채우고 있는 세포외액
•
허파꽈리와 모세혈관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
◦
허파꽈리와 모세혈관은 완전히 맞닿아 있는게 아니라 그 사이에 간질액이 채워져 있음
•
동물의 몸속에 있는 물의 70%는 세포에 있고 30%는 세포와 세포공간(간질액)에 있음.
•
우리 몸에 공기로 찬 빈공간은 폐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물로 채워져 있음.
•
우리는 아직 바닷속에 있다.
◦
산소가 기관까지 올 때는 기체로 온다. 그런데 허파꽈리에서 직접 모세혈관에 산소를 주고 이산화탄소를 받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물속에서 일어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