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가설 검증 바이어스
가설 검증 바이어스란 사람이란 누군가의 첫인상을 형성하고 난 다음에는 자신이 내린 판단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인다. 자신이 내린 판단에 들어맞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받아들이더라도 쉽게 잊어 버린다.
초두 효과(primacy effect)
초두 효과란 인상형성 과정에서 최초에 제시된 정보가 전체 인상을 결정짓는 현상을 의미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첫인상의 형성에서 겉모습보다는 오히려 목소리라든지 말투, 대화내용 등의 청각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뛰어난 미인이라도 목소리나 말투에 문제가 있으면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반면 겉모습이 좀 떨어지는 사람이라도 목소리가 좋고 대화의 내용이나 대화방식이 뛰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좋은 인상을 주고 있었다. 사람들은 자신감에 차 있는 사람을 보면 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데 그 자신감이 차 있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겉모습이 아니라 음성과 말투이기 때문
다른 사람들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는 6단계
1.
주목
•
우리가 지나가다 마주치는 사람 모두를 판단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주의를 끄는 특이한 모습이나 행동의 사람을 보면 인상형성이 시작된다
2.
속사판단
•
다른 사람의 모습을 보고 다양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3.
귀인
•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원인을 찾는 과정. 우리는 원인과 결과가 분명한 것을 좋아하고 또 어떤 일이 생겨난 이유를 알지 못하면 불안해 하기 때문에 우리가 주목을 하는 행동이나 모습이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찾는 과정
4.
관련 특성의 추측
•
귀인과정이 일어난 다음에는 모습이나 행동과 관련된 다른 특성들을 추측해보는 과정이 일어난다
5.
인상형성
•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상대에 대한 인상이 형성된다. 이 후의 모든 예측은 이 인상형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상형성은 잘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6.
장래 행동의 예측
•
우리는 다른 사람이 주는 몇 가지 정보를 기반으로 그 사람이 앞으로 할 행동까지 예측해 버린다
시선
사회적 촉진
사람들이 쳐다보고 있을 때 능률이 오르는 경우는 작업이 우세한 반응일 경우이고 능률이 떨어지는 경우는 부차적인 반응일 경우이다. 여기서 우세한 반응이란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연습을 많이 해 숙련도가 쌓인 반응을 말하며 부차적 반응이란 그렇게 숙달되어 있지 않은 반응을 말한다
자기의식
다른 사람의 시선을 느끼는 정도
자기의식이 너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과 마주하는 상황만 생각하더라도 긴장이 되기 때문에 대인 불안에 빠지기 쉽다 다만 여러 사람이 있는 상황에서는 의식해야 할 시선이 분산되기 때문에 편하다.
자기의식이 낮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반응을 완벽하게 무시하기 때문에 조직의 입장에서 본다면 장애물이 된다. 하지만 정신건강 면에서 본다면 자기의식이 낮은 사람이 더 건강하다.
비교
비교의 이유
사람들이 비교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자존심의 유지라고 할 수 있다.
비교는 자신의 결과보다 좋은 것을 비교하는 상방비교와 자신의 결과보다 나쁜 것을 비교하는 하방비교로 구분할 수 있다.
상황
사회적 영향의 프로세스
사람은 어떠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반응을 보고 상황을 판단하게 마련이다. 예컨대 지진이 일어나도 이웃이 피난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면 피난하지 않는다.
책임감 분산의 프로세스
긴급한 원조 상황이라도 주위에 다른 사람이 있으면 책임감의 분산이 일어난다. ‘내가 안 하더라도 누군가가 하겠지’라고 생각하는 현상.
뇌동
동조성향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집단의 의견을 따라간다
착각
컨트롤의 착각
컨트롤의 착각이란 자기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도 자기가 컨트롤하고 있다고 믿는 현상. 예컨대 주사위를 던질 때 원하는 숫자가 나오게 하기 위해 염력이나 기합을 넣는 행위
감정
화를 내는 11가지 동기
1.
혐오감 전달
2.
단순한 앙갚음
3.
과거의 언동에의 앙갚음
4.
관계의 해소
5.
체면 유지
6.
자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7.
당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8.
개인적인 기대
9.
관계 강화
10.
책임 회피
11.
울분의 토로
6가지 대인 행동
1.
원조적 행동
2.
회피적 행동
3.
친화적 행동
4.
거부적 행동
5.
의존적 행동
6.
공격적 행동
기분을 좌우하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이 증가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감소하면 우울해진다. 인체는 어두워지면 멜라토닌이 증가하고 햇볕을 받으면 멜라토닌이 감소하는 대신 세로토닌이 증가한다.
표시
호혜성의 원리
받고 나면 주거나 주고 나면 받고 싶어하는 성향. 선물을 주고 받는 행위의 저변에 호혜성의 원리가 깔려 있다.
소통
대인적 갈등의 효과적인 처리 방법. 문제를 직시하여 처리하되 유화적인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반면 자신의 의견이나 입장만을 고집하거나 해결을 질질 끌기만 하는 회피는 주위로부터 신뢰감을 잃고 감정의 앙금이 남게 한다.
공평
정당한 세계의 믿음(belief a just world)
좋은 일을 한 사람은 상을 받고 죄를 지은 놈은 처벌을 받는 정당한 세계에 우리가 살고 있다고 믿는 현상
수용
긍정적인 착각과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
예를 들어 자신의 운전 실력이 어느 수준이냐는 질문에 82%의 사람들이 자기가 상위 30% 안에 속한다고 대답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학생들의 86%는 자기의 외모가 다른 학생들보다 낫다고 대답했다. 민사소송을 담당하는 변호사의 68%는 자기가 소송에 이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심리적 보수원
심리적 보수원이란 사람들이 어떠한 것을 받았을 때 만족을 느끼는가를 지칭하는 개념. 다시 말해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보답을 받았다고 느끼는 소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애정에 대한 보답으로 돈을 주어서는 제대로 된 만족감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