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확률, 통계/ Bayesian Statistics - MLE, MAP, Credible Intervals

Bayesian statistics

통계에 대한 베이지안 접근에서 파라미터 θ\boldsymbol{\theta}를 미지수로 다루고, 데이터 D\mathcal{D}가 알려지고 고정되었다고 한다. 데이터를 본 한 후에 (사후에) 베이즈 룰을 사용하여 posterior 분포를 계산함으로써 파리미터에 관한 불확실성을 표현한다.
베이지안 접근은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현재 확률 분포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고, 빈도주의의 접근은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현실을 정확히 표현하는 어떤 이상적인 확률 분포를 찾는 것이고 할 수 있다.
p(θD)=p(θ)p(Dθ)p(D)=p(θ)p(Dθ)p(θ)p(Dθ)dθp(\boldsymbol{\theta}|\mathcal{D}) = {p(\boldsymbol{\theta})p(\mathcal{D}|\boldsymbol{\theta}) \over p(\mathcal{D})} = {p(\boldsymbol{\theta})p(\mathcal{D}|\boldsymbol{\theta}) \over \int p(\boldsymbol{\theta}')p(\mathcal{D}|\boldsymbol{\theta}')d\boldsymbol{\theta}'}
여기서 p(θ)p(\boldsymbol{\theta})는 prior라고 하며 데이터를 보기 전에 파라미터에 대한 믿음(belief)를 표현한다.
p(Dθ)p(\mathcal{D}|\boldsymbol{\theta})는 likelihood라고 하며 각 파라미터의 설정에 대해 어떤 데이터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는지에 대한 믿음이다.
p(θD)p(\boldsymbol{\theta}|\mathcal{D})는 posterior라고 하며 데이터를 본 후에 파라미터에 관한 믿음을 표현한다.
p(D)p(\mathcal{D})는 marginal likelihood 또는 evidence라고 하고 정규화 상수이다.
이 posterior를 계산하는 작업을 Bayesian inference, posterior inference 또는 그냥 inference라고 한다.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MLE)

Likelihood를 최대화하는 파라미터 θ\boldsymbol{\theta}를 찾는 것이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MLE)이다. 이 결과는 Likelihood의 최빈값(Mode)가 된다.
θ^=arg maxθp(Dθ)\hat{\boldsymbol{\theta}} = \argmax_{\boldsymbol{\theta}} p(\mathcal{D}|\boldsymbol{\theta})

Maximum A Posterior(MAP)

Posterior를 최대화하는 파라미터 θ\boldsymbol{\theta}를 찾는 것이 Maximum A Posterior(MAP)이다. 이 결과는 posterior의 최빈값(Mode)가 된다.
θ^=arg maxθp(θD)\hat{\boldsymbol{\theta}} = \argmax_{\boldsymbol{\theta}} p(\boldsymbol{\theta}|\mathcal{D})
posterior가 prior와 likelihood의 곱으로 표현가능하기 때문에 MAP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rg maxθp(θD)arg maxθ(p(θ)×p(Dθ))\argmax_{\boldsymbol{\theta}} p(\boldsymbol{\theta}|\mathcal{D}) \propto \argmax_{\boldsymbol{\theta}} \left( p(\boldsymbol{\theta}) \times p(\mathcal{D}|\boldsymbol{\theta}) \right)
일반적으로는 log를 취해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arg maxθlogp(θD)arg maxθ(logp(θ)+logp(Dθ))\argmax_{\boldsymbol{\theta}} \log p(\boldsymbol{\theta}|\mathcal{D}) \propto \argmax_{\boldsymbol{\theta}} \left( \log p(\boldsymbol{\theta}) + \log p(\mathcal{D}|\boldsymbol{\theta}) \right)

Marginal Likelihood

marginal likelihood p(D)p(\mathcal{D})는 연관된 prior와 함께 관찰된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느냐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고로 베이지안 모델 선택에서 marginal likelihood가 가장 높은 모델을 선택하게 됨.
posterior를 p(θD)p(θ)×p(Dθ)p(\boldsymbol{\theta}|\mathcal{D}) \propto p(\boldsymbol{\theta}) \times p(\mathcal{D}|\boldsymbol{\theta})로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게, marginal likelihood에 대해 다음처럼 계산할 수 있다.
위는 이산인 경우, 아래는 연속인 경우
p(D)=θ[p(Dθ)×p(θ)]p(D)=[p(Dθ)×p(θ)]dθ\begin{aligned} p(\mathcal{D}) &= \sum_{\boldsymbol{\theta}} [p(\mathcal{D}|\boldsymbol{\theta}) \times p(\boldsymbol{\theta})] \\ p(\mathcal{D}) &= \int [p(\mathcal{D}|\boldsymbol{\theta}) \times p(\boldsymbol{\theta})]d\boldsymbol{\theta} \end{aligned}
marginal likelihood는 log가 식 안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log를 취해서 덧셈으로 변환할 수 없다.
만일 특정 파라미터 θk\theta_k에 대해 marginal likelihood를 구한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해서 계산할 수 있다.
위는 이산인 경우, 아래는 연속인 경우.
p(θkD)=θk[p(Dθ)×p(θ)]p(θkD)=[p(Dθ)×p(θ)]dθk\begin{aligned} p(\theta_k|\mathcal{D}) &= \sum_{\boldsymbol{\theta}_{-k}} [p(\mathcal{D}|\boldsymbol{\theta}) \times p(\boldsymbol{\theta})] \\ p(\theta_k|\mathcal{D}) &= \int [p(\mathcal{D}|\boldsymbol{\theta}) \times p(\boldsymbol{\theta})]d\boldsymbol{\theta}_{-k}\end{aligned}
흥미롭게도 log marginal likelihood는 모델 평가에 대한 leave-one-out cross validation(LOO-CV)의 log likelihood와 가깝게 연관되어있다.

Posterior mean, variance

mode는 전체 분포에서 단일 점을 고르는 것에 해당하므로 분포를 제대로 요약하지 못한다. 좀 더 견고한 값은 평균(mean)이다.
prior와 likelihood가 켤레(conjugate)일 때, posterior의 mean은 prior의 mean과 likelihood의 mode(MLE)의 볼록 결합(convex combination)으로 표현 가능하다.
추정치의 불확실성을 포착하기 위해 표준 오차(standard error)를 계산할 수 있는데, 베이지안 통계에서 이것은 posterior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으로 계산된다.
se(θ)=V[θD]\text{se}(\theta) = \sqrt{\mathbb{V}[\theta|\mathcal{D}]}

Credible intervals

posterior 분포는 고차원 객체이기 때문에 이것을 요약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posterior의 평균이나 최빈값 같은 점 추정치를 구한 다음에 이 추정치에 연관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credible interval(신뢰 구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 100(1α)100(1-\alpha)% 신뢰 구간을 posterior 확률 질량의 1α1-\alpha을 포함하는 (인접한) 영역 C=(,u)C = (\ell,u) (lower와 upper의 약자이다) 으로 정의한다.
Cα(D)=(,u):P(θuD)=1αC_\alpha(\mathcal{D}) = (\ell,u) : P(\ell \le \theta \le u|\mathcal{D}) = 1-\alpha
위 식을 만족하는 많은 구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꼬리에서 질량이 (1α)/2(1-\alpha)/2인 구간을 선택한다. 이것을 central interval(중심 구간)이라고 한다.
posterior가 알려진 함수 형식을 가지면 =F1(α/2)\ell = F^{-1}(\alpha/2)u=F1(1α/2)u = F^{-1}(1-\alpha/2)를 사용하여 posterior central interval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F는 posterior의 cdf이고 F1F^{-1}은 inverse cdf이다.
만일 posterior가 가우시안 p(θD)=N(0,1)p(\theta|\mathcal{D}) = \mathcal{N}(0,1)이고 α=0.05\alpha=0.05이면 =Φ1(α/2)=1.96\ell = \Phi^{-1}(\alpha/2) = -1.96이고 u=Φ1(1α/2)=1.96u = \Phi^{-1}(1-\alpha/2) = 1.96이 된다. 여기서 Φ\Phi는 가우시안의 cdf 표기이다.
이것은 μ±2σ\mu \pm 2\sigma 형식의 신뢰 구간을 인용하는 일반적인 사용을 나타낸다. 여기서 μ\mu는 posterior 평균을 나타내고 σ\sigma는 posterior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221.961.96에 대한 좋은 근사치이다.
중심 구간의 문제는 구간 내부보다 외부에 많은 점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어떤 임계치(threshold) 보다 높은 확률을 갖는 점들의 집합인 highest posterior density(HPD)를 사용한다. 더 정확하게 다음과 같은 pdf 위의 임계치 pp^*를 찾는다.
1α=θ:p(θD)>pp(θD)dθ1 - \alpha = \int_{\theta:p(\theta|\mathcal{D}) > p^*}p(\theta|\mathcal{D})d\theta
그 다음 HPD를 다음처럼 정의한다.
Cα(D)={θ:p(θD)p}C_\alpha(\mathcal{D}) = \{\theta:p(\theta|\mathcal{D}) \ge p^*\}
1차원의 경우 HPD 영역은 highest density interval(HDI)라고 부른다.
아래 그림 (b)는 Beta(3,9)\text{Beta}(3,9) 분포의 95% HDI (0.04,0.48)(0.04,0.48)를 보여준다. 이것이 질량의 95%를 포함함에도 중심 구간보다 좁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내부의 모든 점이 외부의 모든 점보다 밀도가 높다.

Posterior predictive distribution

미래 관측을 예측하기 위해 알려지지 않은 파라미터들을 모두 marginalizing out해서 posterior predictive distribution을 계산할 수 있다.
p(yD)=p(yθ)p(θD)dθp(\bold{y}|\mathcal{D}) = \int p(\bold{y}|\boldsymbol{\theta})p(\boldsymbol{\theta}|\mathcal{D})d\boldsymbol{\theta}
이 적분은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파라미터의 점 추정치 θ^=δ(D)\hat{\boldsymbol{\theta}} = \delta(\mathcal{D})를 plug in 하여 근사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δ()\delta()는 MLE나 MAP를 계산하는 방법과 같은 추정기이다.
p(yD)p(yθ^)p(\bold{y}|\mathcal{D}) \approx p(\bold{y}|\hat{\boldsymbol{\theta}})
이것을 plugin approximation이라고 한다. 이것은 점 추정치를 중심으로 한 degenerate 분포로 posterior를 모델링하는 것과 동등하다.
불행히 plugin 근사는 과적합될 수 있다. 플러그인 근사 대신 정확한 posterior 예측을 계산하기 위해 모든 파라미터 값을 marginalize 할 수 있다.

Marginal likelihood

모델 M\mathcal{M}에 대한 marginal likelihood (evidence라고도 함)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DM)=p(θM)p(Dθ,M)dθp(\mathcal{D}|\mathcal{M}) = \int p(\boldsymbol{\theta}|\mathcal{M})p(\mathcal{D}|\boldsymbol{\theta},\mathcal{M})d\boldsymbol{\theta}
특정한 모델의 파라미터에 대한 추론을 수행할 때, 이 항은 θ\boldsymbol{\theta}에 관해 상수이기 때문에 이 항을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수량은 두 모델 사이를 선택할 때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것은 데이터로부터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할 때도(empirical Bayes라고 부르는 접근)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marginal likelihood를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베타-베르누이 모델의 경우에 marginal likelihood는 posterior normalizer와 prior normalizer의 비율에 비례한다.

Modeling more complex data

베이지안 접근을 더 복잡한 모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머신러닝에서 입력 feature x\bold{x}가 주어지면 출력 y\bold{y}를 예측하는데 매우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p(yx,θ)p(\bold{y}|\bold{x},\boldsymbol{\theta}) 형식의 조건부 확률 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선형 모델나 신경망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관심있는 주요 수량은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posterior 예측 분포이다.
p(yx,D)=p(yx,θ)p(θD)dθp(\bold{y}|\bold{x},\mathcal{D}) = \int p(\bold{y}|\bold{x},\boldsymbol{\theta})p(\boldsymbol{\theta}|\mathcal{D})d\boldsymbol{\theta}
알려지지 않은 파라미터를 적분하거나 marginalizing out하여 무한한 수의 모델로부터 예측의 가중 평균을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과적합의 가능성을 줄인다.
불확실성을 적분하는 행위는 머신러닝에 대한 베이지안 접근의 핵심이다.
베이지안 접근을 더 일반적인 플러그인 근사와 대비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여기서는 파라미터의 점 추정 θ^\hat{\boldsymbol{\theta}}을 계산하고(MLE 같이) 그것을 p(yx,θ^)p(\bold{y}|\bold{x},\hat{\boldsymbol{\theta}})을 사용하여 모델에 연결하여 예측을 만든다.
플러그인 근사는 단순하고 널리 사용되지만 그러나 파라미터 추정에서 불확실성을 무시하므로 예측 불확실성이 과소추정(underestimate)될 수 있다.

Exchangeability and de Finetti’s theorem

베이지안 접근에 대한 흥미로운 철학적인 질문은 이것이다. ‘prior는 어디서 오는가?’ 이것은 모델의 추상적인 수량일 뿐이고, 직접 관찰할 수 없는 파라미터를 참조한다.
de Finetti’s theorem이라 하는 근본적인 결과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관찰 가능한 결과에 대한 믿음과 어떻게 연관되었는지를 설명한다.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정의를 해야 한다.
임의의 nn에 대해 결합 확률 p(x1,...,xn)p(\bold{x}_1,...,\bold{x}_n)의 index가 순열에 불변이면 확률 변수들의 시퀀스 (x1,x2,...)(\bold{x}_1,\bold{x}_2,...)를 infinitely exchangeable(교환 가능)이라고 한다. 즉 모든 순열 π\pi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p(x1,...,xn)=p(xπ1,...,xπn)p(\bold{x}_1,...,\bold{x}_n) = p(\bold{x}_{\pi_1},...,\bold{x}_{\pi_n})
교환가능은 iid(independent, identically distribute) 변수의 시퀀스라는 더 친숙한 개념에 비해 더 일반화된 개념이다.
예컨대 D=(x1,...,xn)\mathcal{D} = (\bold{x}_1,...,\bold{x}_n)가 이미지의 시퀀스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xip\bold{x}_i \sim p^*는 ‘실제 분포’ pp^*에서 독립적으로 생성된다. 이것이 iid 시퀀스임을 알 수 있다.
이제 x0\bold{x}_0가 background 이미지라고 가정하자. 시퀀스 (x0+x1,...,x0+xn)(\bold{x}_0 + \bold{x}_1,...,\bold{x}_0+\bold{x}_n)은 무한히 교환가능하지만 iid는 아니다. 모든 변수들이 숨겨진 공통 요소 즉 background x0\bold{x}_0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 많이 볼수록 공유된 x0\bold{x}_0를 더 잘 추정할 수 있으므로 미래 요소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교환 가능 시퀀스를 숨겨진 공통 원인에서 비롯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알려지지 않은 확률 변수 θ\boldsymbol{\theta}로 처리할 수 있다. 이것은 de Finetti’s theorem으로 형식화될 수 있다.
de Finetti’s theorem. 확률 변수들의 시퀀스 (x1,x2,...)(\bold{x}_1,\bold{x}_2,...)는 다음과 같이 모든 nn에 대해 무한히 교환 가능하고, 그 역도 성립한다.
p(x1,...,xn)=i=1np(xiθ)p(θ)dθp(\bold{x}_1,...,\bold{x}_n) = \int \prod_{i=1}^n p(\bold{x}_i|\boldsymbol{\theta})p(\boldsymbol{\theta})d\boldsymbol{\theta}
여기서 θ\boldsymbol{\theta}는 어떤 숨겨진 공통 확률 변수(아마도 무한 차원)이다. 즉 xi\bold{x}_iθ\boldsymbol{\theta}에서 조건부 iid이다.
종종 θ\boldsymbol{\theta}를 파라미터로 해석한다. 이 정리에 따르면 데이터가 교환 가능하면 반드시 파라미터 θ\boldsymbol{\theta}, likelihood p(xiθ)p(\bold{x}_i|\boldsymbol{\theta}), prior p(θ)p(\boldsymbol{\theta})가 반드시 존재한다. 따라서 베이지안 접근은 교환 가능성으로부터 자동으로 따라온다.
이 접근법은 partially exhangeable(부분적으로 교환 가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조건부 확률 모델을 확장할 수도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