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이상엽/ 위상수학/ 위상공간

위상공간

도입

위상수학의 본질은 연속에 대한 이해이며, 실수의 연속성으로부터 시작한다.
(연속의 핵심은 극한)
Def 1. [limnxn=L\lim_{n \to \infty} x_{n} = L]
LRL \in \mathbb{R}이라 할 때, ϵ>0,NN:nN,xnL<ϵ\forall \epsilon > 0, \exists N \in \mathbb{N} : \forall n \geq \mathbb{N}, |x_{n} - L| < \epsilon
이때 xnL<ϵxn(Lϵ,L+ϵ)|x_{n} - L| < \epsilon \Leftrightarrow x_{n} \in (L - \epsilon, L + \epsilon)
xn(Lϵ,L+ϵ)x_{n} \in (L - \epsilon, L + \epsilon)xnx_{n}LL 의 근방에 포함된다는 의미
Def 2. [근방]
NR,LRN \subset \mathbb{R}, L \in \mathbb{R} 이라 할 때,
(a,b)N:L(a,b)\exists(a, b) \subset N : L \in (a, b)을 만족하면 NNLL의 근방이라 한다.
근방이란 LL을 포함하는 열린구간을 의미. 심지어 (,)(-\infty, \infty)도 정의상 근방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근방 정의의 핵심은 LL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가 아니라 연속성.
Thm 1. [근방(열린구간)의 성질]
1.
LRL \in \mathbb{R}의 근방들의 유한교집합은 LL의 근방이다.
닫힌 구간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닫힌 구간들이 1개의 원소를 공유하는 경우 그 교집합은 1개의 원소가 되기 때문에 근방이 되지 않음.
2.
LRL \in \mathbb{R}의 근방들의 무한합집합은 LL의 근방이다.
무한 교집합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교집합이 1개의 원소로 수렴하기 때문
Def 3. [열린집합]
열린구간들의 합집합으로 표현 가능한 집합을 열린집합이라 한다.
Thm 2. [열린집합의 성질]
1.
\emptyset은 열린집합이다.
2.
열린집합의 유한교집합은 열린집합이다.
3.
열린집합의 무한합집합은 열린집합이다.
열린구간의 일반화 버전
열린집합을 0번 합하면 공집합, 1번 합하면 열린구간이 된다.

위상공간

실수에서의 열린집합 성질을 바탕으로 이를 일반화하여 위상공간을 정의한다.
임의의 집합 XX에 열린집합의 성질을 부여한 것이 위상공간
Def 1. [위상과 위상공간]
집합 X()X (\neq \emptyset)XX의 부분집합의 집합족 I\mathfrak{I}가 다음을 만족한다고 하자.
1.
,XI\emptyset, X \in \mathfrak{I}
XX는 열린집합
2.
UiI,i=1nUiI(n<)\forall U_{i} \in \mathfrak{I}, \cap_{i=1}^{n} U_{i} \in \mathfrak{I} (n < \infty)
열린집합의 성질에서 유한 교집합과 같은 내용
3.
UiI,iUiI\forall U_{i} \in \mathfrak{I}, \cup_{i} U_{i} \in \mathfrak{I}
열린집합의 성질에서 무한 합집합과 같은 내용
이때 I\mathfrak{I}XX 위의 위상(topology), (X,I)(X, \mathfrak{I})를 위상공간이라 한다.
1.(1).Def3에서 정의한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I\mathfrak{I}에 대해 (R,I)(\mathbb{R}, \mathfrak{I})를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이라 한다.
정의에 의해 한 집합에는 다양한 위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Def 2. [열린집합 개념의 확장]
I\mathfrak{I}가 집합 XX의 위상일 때 I\mathfrak{I}의 원소를 열린집합이라 한다. 즉, 위상공간 (X,I)(X, \mathfrak{I})에 대해 OIO \in \mathfrak{I}O(X)O (\subset X)
ex) 집합 X()X(\neq \emptyset)에 대하여 다음은 모두 XX 위의 위상이다.
1.
I={,X}\mathfrak{I} = \{ \emptyset, X \}: 밀착위상
2.
I=P(X)\mathfrak{I} = P(X): 이산위상
모든 집합 XX에 대하여
공집합과 자기 자신(XX)을 포함하는 집합족도 XX의 위상이 되고, (최소) 이거를 밀착 위상이라고 한다.
공집합과 자기 자신(XX)과 자기 자신의 모든 부분집합을 포함하는 집합족도 XX의 위상이 된다. (최대) - 이게 멱집합이고 이걸 이산 위상이라고 한다.
Def 3. [닫힌집합]
I\mathfrak{I}가 집합 XX의 위상일 때 Cc=XCIC^{c} = X - C \in \mathfrak{I}CC를 닫힌집합이라 한다. (열린집합의 여집합)
닫힌집합이라 해서 열린집합이 아닌 것은 아니다. 즉, 열린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집합인 것도 존재할 수 있다.
ex)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에서 R\mathbb{R}

기저

기저

기저로부터 위상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위상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Def. [기저]
집합 XX위의 위상 I\mathfrak{I}I\mathfrak{I}의 부분집합 B\mathcal{B}에 대해 I\mathfrak{I}의 임의의 원소가 B\mathcal{B}의 원소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면 B\mathcal{B}I\mathfrak{I}의 기저라 한다.
B\mathcal{B}I\mathfrak{I}의 기저일 떄, BCI\mathcal{B} \subset \mathcal{C} \subset \mathfrak{I}C\mathcal{C}I\mathfrak{I}의 기저이다.
Thm. [기저의 또 다른 정의]
위상공간 (X,I)(X, \mathfrak{I})I\mathfrak{I}의 부분집합 B\mathcal{B}에 대하여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B\mathcal{B}I\mathfrak{I}의 기저이다.
2.
pX,pUI,BB:pBU\forall p \in X, p \in U \in \mathfrak{I}, \exists B \in \mathcal{B} : p \in B \subset U
Cor. [기저의 성질]
집합 XX위에 정의된 위상의 기저 B\mathcal{B}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1.
pX,BB:pB\forall p \in X, \exists B \in \mathcal{B} : p \in B
2.
B1,B2B,pB1B2,B3B:pB3B1B2\forall B_{1}, B_{2} \in \mathcal{B}, \forall p \in B_{1} \cap B_{2}, \exists B_{3} \in \mathcal{B} : p \in B_{3} \subset B_{1} \cap B_{2}
ex) 다음 집합이 생성하는 집합족은 모두 R\mathbb{R}위의 위상이다.
1.
L={[a,b)Ra,bR,a<b}L = \{ [a, b) \subset \mathbb{R} | a, b \in \mathbb{R}, a < b \}
2.
U={(a,b]Ra,bR,a<b}U = \{ (a, b] \subset \mathbb{R} | a, b \in \mathbb{R}, a < b \}

위상크기비교

같은 집합위의 서로 다른 두 위상의 크기를 비교가능한 때가 있으며, 이는 각 위상의 기저를 이용해 효율적으로도 가능하다.
Def. [위상크기비교]
집합 XX 위의 두 위상 I1,I2\mathfrak{I}_{1}, \mathfrak{I}_{2}에 대하여 I1I2\mathfrak{I}_{1} \subset \mathfrak{I}_{2}이면 I1\mathfrak{I}_{1}I2\mathfrak{I}_{2}보다 작다 (또는 I2\mathfrak{I}_{2}I1\mathfrak{I}_{1}보다 크다)고 한다.
Thm. [기저를 이용한 위상크기비교]
B1,B2\mathcal{B}_{1}, \mathcal{B}_{2}가 각각 집합 XX 위의 서로 다른 두 위상 I1,I2\mathfrak{I}_{1}, \mathfrak{I}_{2}의 기저라 하자. 이때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I1\mathfrak{I}_{1}I2\mathfrak{I}_{2}보다 크다.
2.
pX,B2B2\forall p \in X, \forall B_{2} \in \mathcal{B}_{2}, with pB2,B1B1:pB1B2p \in B{2}, \exists B_{1} \in \mathcal{B}{1} : p \in B{1} \subset B_{2}
즉, B1B2\mathcal{B}_{1} \supset \mathcal{B}_{2}이면 I1I2\mathfrak{I}_{1} \supset \mathfrak{I}_{2}이다. 단,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거리공간

거리공간

위상공간에서 배제된 거리의 개념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를 집합에 부여한 공간을 고려해본다.
Def. [거리]
집합 XX에 대해 함수 d:X×XRd : X \times X \to \mathbb{R}가 다음 네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1.
x,yX,d(x,y)0\forall x, y \in X, d(x, y) \geq 0
2.
d(x,y)=0x=yd(x, y) = 0 \Leftrightarrow x = y
3.
x,yX,d(x,y)=d(y,x)\forall x, y \in X, d(x, y) = d(y, x)
4.
x,y,zX,d(x,y)d(x,z)+d(z,y)\forall x, y, z \in X, d(x, y) \leq d(x, z) + d(z, y)
이때 ddXX 위의 거리(함수), (X,d)(X, d)를 거리공간이라 한다.
ex) 다음은 모두 거리공간이다.
1.
R\mathbb{R}d(x,y)=xyd(x, y) = |x - y| 에 대해 (R,d)(\mathbb{R}, d)
여기서 dd는 유클리드 거리라고 하며 (R,d)(\mathbb{R}, d)는 유클리드 공간이라 한다. (보통 dEd_{E}로 씀)
2.
Rn={x=(x1,...,xn)x1,...,xnR}\mathbb{R}^{n} = \{ \vec{x} = (x_{1}, ... , x_{n}) | x_{1}, ... , x_{n} \in \mathbb{R} \}d(x,y)=(x1y1)2+...+(xnyn)2d(\vec{x}, \vec{y}) = \sqrt{(x_{1} - y_{1})^{2} + ... + (x_{n} - y_{n})^{2}} 에 대해 (Rn,d)(\mathbb{R}^{n}, d)
3.
임의의 집합 XXd(x,y)={1,xy0,x=yd(x, y) = \begin{cases} 1, x \neq y \\ 0, x = y \end{cases}에 대해 (X,d)(X, d)
주어진 두 거리공간 (X1,d1),(X2,d2)(X_{1}, d_{1}), (X_{2}, d_{2})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곱거리함수 d1×d2d_{1} \times d_{2}를 이용해 새로운 거리공간 (X1×X2,d1×d2)(X_{1} \times X_{2}, d_{1} \times d_{2})을 만들 수 있다.
(d1×d2)((x1,x2),(y1,y2))=(d1(x1,y1))2+(d2(x2,y2))2(d_{1} \times d_{2})((x_{1}, x_{2}), (y_{1}, y_{2})) = \sqrt{(d_{1}(x_{1}, y_{1}))^{2} + (d_{2}(x_{2}, y_{2}))^{2}}
(단, X1×X2={(x1,x2x1X1,x2X2}X_{1} \times X_{2} = \{ (x_{1}, x_{2} | x_{1} \in X_{1}, x_{2} \in X_{2} \})

거리화 가능 공간

모든 거리공간은 위상공간화 가능하다.
하지만 위상공간이 거리공간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것도 존재하기 때문에, 거리공간이 위상공간에 포함되는 개념이 된다. 거리는 위상공간에서 부차적인 요소이다.
거리공간에서 위상공간의 기저가 될 수 있는 것을 만들어 준다.
Def. [열린구]
거리공간 (X,d)(X, d)과 임의의 점 x0Xx_{0} \in X, 양의 실수 rr에 대하여 XX의 부분집합
Bd(x0,r)={xXd(x0,x)<r}B_{d} (x_{0}, r) = \{ x \in X | d(x_{0}, x) < r \}
을 중심이 x0x_{0}이고 반지름인 rr인 열린구라하며, 간략히 Br(x0)B_{r}(x_{0})로 표기하기도 한다. (임의의 점 xx에서 거리 rr안에 포함되는 모든 점을 가져온 것. rr미만 이기 때문에 열린 구가 된다. 이하이면 닫힌구, 거리와 같은 점을 모으면 구면이 된다)
Br(x0)={xXd(x0,x)r}\overline{B_{r}}(x_{0}) = \{ x \in X | d(x_{0}, x) \leq r \} : 닫힌구
Sr(x0)={xXd(x0,x)=r}S_{r}(x_{0}) = \{x \in X | d(x_{0}, x) = r \} : 구면
Thm. [거리공간의 위상공간 유도]
거리공간 (X,d)(X, d)에 대하여 모든 열린구들의 집합
B={Br(x0)x0X,r>0}\mathcal{B} = \{ B_{r}(x_{0}) | x_{0} \in X, r > 0 \}
는 항상 집합 XX위의 어떤 위상의 기저가 된다. B\mathcal{B}로부터 생성된 위상을 거리위상, 위상공간을 유도공간이라 한다. (모든 열린 구들의 집합이 어떤 위상의 기저가 된다. 그렇게 만든 기저로 위상공간의 모든 요소들을 만들어낼 수 있음)
어떠한 거리공간으로부터도 유도될 수 없는 위상공간이 존재한다.
ex) X={1,2}X = \{ 1, 2 \}에 대한 밀착위상공간
서로 다른 두 거리공간으로부터 동일한 위상공간이 유도되기도 한다.
ex) x=(x1,x2),y=(y1,y2)(R2)\vec{x} = (x_{1}, x_{2}), \vec{y} = (y_{1}, y_{2}) (\in \mathbb{R}^{2})
dE(x,y)=(x1y1)2+(x2y2)2d_{E}(\vec{x}, \vec{y}) = \sqrt{(x_{1} - y_{1})^{2} + (x_{2} - y_{2})^{2}}
dM(x,y)=Max(x1y1,x2y2)d_{M}(\vec{x}, \vec{y}) = Max(|x_{1} - y_{1}|, |x_{2} - y_{2}|)
일 때 (Rn,dE),(Rn,dM)(\mathbb{R}^{n}, d_{E}), (\mathbb{R}^{n}, d_{M})
dEd_{E}는 원의 모양이 되고 dMd_{M}는 정사각형 모양이 된다. 그런데 이 두 거리공간으로부터 유도되는 위상공간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원과 사각형이 위상공간에서는 같은 것이라는 것. 이는 실수라는 무한집합을 이용하였기 때문. 이게 위상수학의 유명한 예.
관계를 다음과 같이 도식해 볼 수 있다.

내, 외부와 경계

집적점과 폐포

실수의 극한에 대응하는 위상공간의 개념을 알아본다.
집적점은 실수의 극한의 일반화된 버전
열린구간의 경계에 해당한다.
Def 1. [집적점]
위상공간 (X,I)(X, \mathfrak{I})에 대해 AAXX를 부분집합이라 하자. 점 xXx \in Xxx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집합 UU 에 대하여
(U{x})A(U \setminus \{x\}) \cap A \neq \emptyset
를 만족하면 xxAA의 집적점이라 한다. (xxAA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즉 집합 AA의 집적점이란 AA의 원소들이 한없이 가까이 분포하고 있는 점이다.
실수의 보통위상공간과 유리수집합 Q\mathbb{Q}에 대해 모든 실수는 Q\mathbb{Q}의 집적점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위상공간의 모든 원소를 집적점으로 갖는 집합의 성질을 조밀성이라 한다.
또한 조밀한 가산부분집합이 존재하는 위상공간은 분해가능공간이라 한다.
Thm 1. [닫힌집합의 의미 1]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AA는 닫힌집합이다.
2.
AA의 모든 집적점들은 AA에 포함된다.
닫힌집합은 열린집합의 여집합이기 때문에, 거꾸로 닫힙집합을 찾고 그것의 여집합을 하면 열린집합이 된다. --열린집합을 찾기 어려운 경우 이렇게 한다.
열린집합이란 위상의 원소다.
Def 2. [도집합과 폐포]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AA의 모든 집적점들의 집합을 AA의 도집합 AA'라 하고 AAA \cup A'AA의 폐포 A\overline{A}라 한다.
집적점이 AA 내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AA의 모든 집적점들의 집합이나 그 집합과 AA의 합집합이 별도의 의미가 있게 된다.
Cor. [닫힌집합의 의미 2]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다음 세 명제는 동치이다. (도집합과 폐포를 이용해서 닫힌집합을 정의할 수 있음)
1.
AA는 닫힌집합이다.
2.
AAA' \subset A
3.
A=A\overline{A} = A
Thm 2. [폐포의 의미]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xAx \in \overline{A}
2.
\forall열린집합 Ux,UAU \ni x, U \cap A \neq \emptyset

내, 외부와 경계

Def. [내부, 외부, 경계]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1.
AA에 포함되는 모든 열린집합의 합집합을 AA의 내부 Int(A)Int(A)라 한다.
위상의 원소들 가운데 AA 에 포함되는 모든 것을 AA의 내부라고 한다.
2.
Ac(=XA)A^{c} (= X \setminus A)의 내부를 AA의 외부 Ext(A)\text{Ext}(A)라 한다.
AA의 여집합의 내부(열린집합)가 AA의 외부가 된다.
3.
AAc\overline{A} \cap \overline{A^{c}}AA의 경계 A\partial A라 한다.
AA의 폐포와 AA 여집합의 폐포의 교집합이 AA의 경계가 된다. 폐포는 직접점(경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경계가 된다.
Thm. [내부, 외부, 경계의 의미]
위상공간 (X,I)(X, \mathfrak{I})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이 부분 집합 AA는 임의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열린집합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1.
\exists열린집합 U:xUAxInt(A)U : x \in U \subset A \Leftrightarrow x \in Int(A)
AA의 내부에 속하는 점을 포함하면서 AA의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
2.
\exists열린집합 xUAcxExt(A)x \in U \subset A^{c} \Leftrightarrow x \in Ext(A)
AA의 외부에 속하는 점을 포함하면서 AA의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
3.
\exists열린집합 Ux,(UA)(UAc)xAU \ni x, (U \cap A \neq \emptyset) \wedge (U \cap A^{c} \neq \emptyset) \Leftrightarrow x \in \partial A
Cor. Int(A)Ext(A)A=XInt(A) \cup \text{Ext}(A) \cup \partial A = X
내부, 외부, 경계를 합하면 XX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