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한비자

세상을 다스리는 자들은 끊임없이 나타나는 중급 수준의 군주들인데, 내가 말하고자 하는 권세도 이들 보통 군주를 위한 것이다. 보통 군주들은 위로 요, 순 같은 성군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아래로 걸, 주와 같은 폭군 같지도 않아서 법도를 지키고 권세를 잘 사용한다면 나라를 잘 다스릴 것이고, 법도를 어기고 권세를 남용한다면 나라가 소란스러워질 것이다. 만약 권세를 남용하고 법도를 어기면서 요, 순 같은 성군을 기다린다면 요, 순이 나타나 나라가 잘 다스려진다고 해도 천세를 혼란 속에서 지내다 단지 일세 동안 나라가 잘 다스려진 것이다. 만약 법도를 엄수하고 권세를 선용한다면 걸, 주 같은 폭군이 나타나 소란을 일으킨다고 해도 천세를 안정되게 지내다 겨우 일세 동안 소란스러운 것이다.— 한비자
동양의 <군주론>이라고 불리는 한비자. 도덕에 의한 정치를 깐다는 점에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궤를 같이 하지만 –그리하여 유학하는 선비들을 엄청 깐다. 특히 공자는 정치 알지도 못하는 놈 정도로 봄–, 한비자는 법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실제 내용에는 차이가 크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위의 인용문에 잘 드러나는데, 이를 보면 한비자는 대단히 철저한 시스템주의자의 사고 방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이에 대한 평을 하자면, 시스템주의는 시스템이 없는 집단들 끼리의 경쟁 상황에서는 시스템을 갖춘 것만으로도 크게 유리하지만 모두가 시스템을 갖춘 상황에서는 시스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비자의 이야기는 옳지만 부분적이다'라고 생각 함. 물론 한비자가 살던 시대에는 –사실은 현대에도 적용가능한 곳이 많긴 하지만– 충분히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생각 함. 실제로 한비자가 모델로 삼은 진나라는 법치를 바탕으로 부국강병을 이루어 천하를 통일하였기 때문.
책을 읽으면서 한비자가 인간을 대단히 신뢰하지 않는 존재로 본다는 점이 좀 놀라웠는데, –아마도 그러한 사고관에 의하여 이러한 책이 쓰여진 것이겠으나– 백성은 말할 것도 없고 신하 또한 틈만나면 왕권을 뺏으려하는 도둑놈과 다를바 없이 묘사하여 좀 놀랐다. –이러한 맥락에서 엄격한 상벌 체계에 의한 법으로만 인간을 다스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지금 보면 좀 심하다 싶긴한데, 한비자가 전국 시대 사람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뭐 그럴 수 있겠다 싶기도 함.